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 시작합니다. 이재명 기자, 심재철 이재정 의원 지역구 여론조사가 나왔는데, 이 여론조사를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가 조사를 한다고 그래요. 뭐가 문제입니까? <br> <br>같은 기관이 조사해 같은 날 발표한 2개의 여론조사 결과가 전혀 달랐습니다. 화면 보시죠. <br><br><br><br>먼저 MBN 조사에선 민주당 이재정 후보가 통합당 심재철 후보보다 21%포인트 이상 앞섰습니다. 오차범위를 훌쩍 뛰어넘어 사실상 승기를 잡았다, 이렇게 볼 수 있는 결과입니다. <br><br><br><br>반면 같은 날 발표된 경인일보 조사에선 두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 있습니다. 다시 말해 우위를 가릴 수 없다는 그런 뜻입니다. <br> <br>Q. 의뢰한 언론기관은 다르지만 조사한 기관은 같다는 거죠? <br> <br>맞습니다. 도대체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해당 기관에 직접 물어봤습니다. <br><br><br> <br>[알앤써치 관계자] <br>저희는 상당히 (객관성을 유지)하려고 같은 서버를 안 쓰고, 서버 두 개를 나눠서 했거든요. 제1서버에서는 MBN, 제2서버에서는 경인(일보) 조사. (그런데) 하나는 경력이 있었고, 하나는 경력이 없었고, 유무선 비율이 다 달랐죠. <br> <br>다시 말해 MBN과 경인일보 조사를 완전히 분리했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양쪽 결과를 몰랐다는 겁니다. <br> <br>어쨌든 지지율 차이가 굉장히 큰데 MBN 조사 때는 정당과 이름만으로 지지율 조사를 했고, 경인일보 조사 때는 정당, 이름에 직책을 넣었다는 겁니다. 심재철 의원의 경우 전 국회부의장, 이런 직책을 넣은 건데, 그게 결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그렇게 추측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전 국회부의장, 이 직책 하나 때문에 결과가 그렇게 달라질까요? <br> <br>문항을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완전히 달라진다는 건 정설입니다. <br><br>다만 정확한 이유는 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의 조사 결과가 나와 봐야 알 것 같습니다. <br><br><br><br>Q. 알겠습니다. 다음 주제로 가볼게요. 더불어시민당과 열린민주당, 요즘 친문 적자 경쟁을 한창 하고 있는데, 오늘은 시민당이 봉하마을을 찾았어요. 이것도 다 이유가 있겠죠? <br> <br>자신들이야말로 노무현 정신의 계승자다, 이걸 강조한 행보인데, 이들의 안내자로 나선 사람이 더 눈길을 끌었습니다. <br><br><br><br>[양정철 / 민주연구원장] <br>더불어시민당 후보들이 노무현 대통령님 가치나 정신 잘 새겨서 좋은 정치 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제가 안내를 자청을 했어요. <br>(열린민주당에 있는 의원님 말은 자기들이 더 (노무현) 정신을 이어받는다 이런 얘기도 있는데….) <br>여기까지. <br> <br>Q. 열린민주당도 이번 주말에 봉하마을을 간다고 하더라고요. 그런데 또 '서자-효자'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, 이건 뭡니까? <br> <br>어제 시민당에선 열린민주당을 두고 서자도 못 된다, 이렇게 비판했습니다. 그러자 열린민주당에서는 '효자론'을 들고나왔습니다. <br> <br>[손혜원 / 열린민주당 의원 (MBC 라디오,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적자다, 서자다 하는데 우리는 효자다. 나중에 당이 어려울 때 언제나 우리가 부모를 부양할 마음가짐이 있는 그런 우리는 효자다. <br> <br>Q. 실제로 이 싸움이 겉으로는 치열해보이지만, 사실은 파이를 키우기 위한 전략적 싸움이다, 이런 해석도 있더라고요. <br> <br>어제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서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><br><br><br>비례대표 정당 지지율을 보면 더불어시민당과 미래한국당에 이어 열린민주당이 두 자릿수의 지지율을 보였습니다.<br><br><br><br>그런데 지난 주와 비교해 시민당의 지지율은 9%포인트나 빠졌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열린민주당의 지지율이 그것보다 더 많이 나왔습니다. 결국 두 당의 합이 더 커진 겁니다. <br> <br>이 때문에 두 당이 서로 '노이즈 마케팅'을 하는 게 아니냐, 이런 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<br><br>오늘의 한마디는 '이게 연기라면 아카데미감' 이렇게 정했습니다. <br> <br>사실 많은 유권자들은 두 당이 왜 따로 나오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없을 것 같기도 합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